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도 열차사고 원인 규명 피해 현황 무궁화호 블랙박스 CCTV 확보

by garden-pak 2025. 8. 20.
반응형

2025년 8월 19일 오전 경북 청도 경부선 선로 인근에서 무궁화호(1903호) 열차가 구조물 안전점검을 위해 이동하던 작업자 7명을 치는 사고가 발생해 2명 사망, 5명 부상의 인명피해가 났습니다. 사고 열차에는 승객 89명이 탑승했으며 승객의 직접적 부상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청도 열차사고 뉴스 블랙박스 영상 CCTV 확보

사고 개요 한눈에

일시장소열차피해현장 대응

2025-08-19 오전 10:50~10:52 전후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일원(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경부선 선로
무궁화호 1903호 (동대구 → 진주)
작업자 2명 사망, 5명 부상(중상 다수), 승객 89명 큰 부상 없음
하행선 일시 중단·상행선 제한 운행, 구조인력·장비 투입

※ 피해 수치와 열차·구간 정보는 초기 수사·보도 기준으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타임라인

  • 10:24 무궁화호 1903호 동대구역 출발(진주행 예정)
  • ~10:45 점검 인력 선로 인근 진입·이동(비탈면 구조물 안전점검 목적)
  • 10:50~10:52 청도소싸움장 인근 선로에서 작업자 7명 열차에 피격
  • 직후 구조대 출동, 부상자 병원이송·열차 지연 발생

피해 현황과 신원

사망자 2명은 외부 안전점검 전문업체 소속으로, 부상자 중에는 코레일 직원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중상자가 다수라 추가 변동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인 조사 핵심 쟁점

  • 대피 미흡·인지 지연: 전동차 소음·곡선 구간 가시성 등으로 접근 인지 어려웠는지
  • 작업·운행 분리: 작업 시간대 선로 차단 및 인접선 통제 절차 준수 여부
  • 경보 체계: 무전·감지 앱·감시원 배치 등 위험 경보 시스템 실효성
  • 작업 동선: 선로 외방 2m 규정 준수 및 안전관리자 지휘·감독 상태

경찰·국토교통부·코레일이 CCTV·열차 블랙박스·작업계획서 등을 확보해 합동 조사 중입니다.

왜 반복되는가: 재발방지 과제

  • 작업-운행 완전 분리: 인접선 운행 시 선로 차단 원칙화, 야드·차단구간 확보
  • 현장 경보 이중화: 열차 접근 알림(무전+앱+가시·청각 경보) 다중화
  • 감시원 권한 강화: 열차 접근 시 작업 즉시 중지·퇴피 지휘 권한 명문화
  • 하청 안전관리: 원·하청 통합 책임체계, 위험성 평가 공동 수행 의무화
  • 실시간 관제 연동: 관제-현장 양방향 알림과 위치 기반 경보(Geofencing) 도입

 

청도 열차사고 뉴스 블랙박스 영상 CCTV 확보

 

독자 유의사항

본 글은 다수의 언론 보도를 바탕으로 사실관계를 정리한 것으로, 조사·수사 결과에 따라 내용이 보완될 수 있습니다. 관련자들의 법적 책임 유무는 최종 사법 판단을 따릅니다.

작성·편집: 편집부 | 최종 업데이트: 2025-08-20

출처: 핫피플나우 기사 및 주요 언론 보도 종합

 

반응형